아미리 바라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리 바라카는 흑인 해방과 인종차별을 주제로 50년 이상 활동한 미국의 시인, 극작가, 작가, 비평가, 사회 운동가이다. 그는 흑인 음악의 역사를 조명한 『블루스 피플』을 비롯하여, 다양한 시, 희곡, 에세이를 발표하며 흑인 예술 운동의 주요 이론가로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흑인 민족주의적 관점을 담아 긍정적 평가와 여성혐오, 동성애 혐오, 반유대주의적 표현으로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2002년 뉴저지주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으나, 9.11 테러 관련 시로 인해 직위가 폐지되었으며, 2014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크스주의 시인 - 파블로 네루다
파블로 네루다는 20세기 칠레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197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음악 작가 - 데이비드 번
데이비드 번은 1952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싱어송라이터, 배우, 음악가, 미술가, 작가이며 토킹 헤즈의 프런트맨으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실험적인 시도, 독창적인 비주얼 아트, 영화 음악 작업으로도 유명하다. - 미국의 음악 작가 - 그레일 마커스
그레일 마커스는 미국의 음악 평론가이자 문화 평론가, 작가이며, 록 음악 비평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매체에 기고하고, 밥 딜런에 대한 평론과 저서를 다수 출간했다. - 재즈 작가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재즈 작가 - 필립 라킨
필립 라킨은 20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평범한 일상과 죽음에 대한 성찰을 간결한 언어로 표현하며 영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미리 바라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미리 바라카 |
원어 이름 | Amiri Baraka |
출생명 | 에버렛 리로이 존스 |
가명 | 리로이 존스, 이마무 아미어 바라카 |
출생일 | 1934년 10월 7일 |
출생지 | 미국 뉴저지주 뉴어크 |
사망일 | 2014년 1월 9일 |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뉴어크 |
활동 기간 | 1961년–2014년 |
직업 | 배우 교사 연출가 극장 프로듀서 작가 운동가 시인 |
장르 | 시, 희곡 |
배우자 | 헤티 코언 (1958년–1964년, 이혼) 실비아 로빈슨 (1966년–2014년) |
자녀 | 켈리 존스 리사 존스 도미니크 디 프리마 마리아 존스 샤니 바라카 오발라지 바라카 라스 J. 바라카 아히 바라카 아미리 바라카 주니어 |
웹사이트 | 아미리 바라카 공식 웹사이트 |
군 복무 | |
소속 | 미국 공군 |
복무 기간 | 1954년–1957년 |
2. 생애
아미리 바라카는 50년 이상 작가로 활동했으며, 그의 작품 주제는 흑인 해방부터 백인 인종차별까지 다양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블루스 피플(블루스의 영혼)』[110], 『음악: 재즈와 블루스의 반사』, 『승려의 책』, 『새로운 음악, 새로운 시』 등이 있으며, 사회와 음악에 관한 책을 많이 썼다.[111]
바라카의 시와 저술은 높은 평가와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에서는 제임스 볼드윈[112]과 비교하며 그를 당대 가장 존경받고 널리 알려진 흑인 작가 중 한 명으로 꼽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여성혐오[113]와 동성애혐오 표현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바라카의 희곡, 시, 수필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를 정의하는 주요 텍스트로 평가받으며, 비트 세대 작가들의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2014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9]
2. 1. 초기 생애 (1934-1965)
뉴저지주 뉴어크에서 태어나 바린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의 아버지는 우편국 감독관 및 승강기 운전사였고, 어머니는 사회복지사였다.[13] 어린 시절부터 재즈에 관심을 가졌으며, 마일스 데이비스처럼 되고 싶어 했다.[14]러트거스 대학교 장학금을 받았으나, 하워드 대학교로 편입하여 철학과 종교학을 공부했다. 이는 그의 후기 저술의 기반이 되었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와 뉴 스쿨에서 수학했다.
1954년 미국 공군에 입대하여 상병 계급까지 올랐으나, 공산주의자라는 익명의 편지로 인해 불명예 제대를 당했다.[16] 그는 군 복무 경험을 "인종차별적이고, 굴욕적이며, 지적으로 마비시키는 것"이었다고 묘사했다.[17] 푸에르토리코 주둔 시절 기지 도서관에서 일하며 비트 시인들에게 영감을 받아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리니치 빌리지로 이사하여 음반 창고에서 일하며 재즈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Black Mountain poets과 뉴욕 스쿨 시인들과 교류했다. 1958년 헤티 존스와 결혼하여 두 딸, 켈리 존스와 리사 존스를 낳았다. 잭 케루악과 앨런 긴즈버그 등의 작품을 출판하는 토템 프레스를 설립했다.[18][19]
문예지 ''Yugen''을 공동 창간하여 1962년까지 8호를 발행했다.[20] 랭스턴 휴스를 만나고, 오넷 콜먼이 색소폰을 연주하는 파티를 주최하기도 했다.[21] ''Kulchur''(1960-65)의 편집자 및 비평가로 활동했고, 다이앤 디 프리마와 함께 ''The Floating Bear''의 처음 25호(1961-63)를 편집했다.[6] 1961년 ''The Floating Bear #9''가 압수되고 음란물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21] 뉴욕 시인 극장을 공동 설립하고, 디 프리마와 불륜 관계를 맺어 딸 도미니크 디 프리마를 낳았다.
1960년 쿠바를 방문하여 "쿠바 리브레"라는 에세이를 썼다.[22] 그곳에서 만난 반항적인 예술가들은 그를 "겁 많은 부르주아 개인주의자"라고 비난했고, 이는 그의 글쓰기와 목표에 큰 변화를 가져와 흑인 민족주의를 지지하게 했다. 1961년 피델 카스트로 정권 지지 선언을 공동 집필하고, 움브라 시인들 워크숍의 일원이었다(1962-65).
첫 시집 ''20권짜리 자살 유서 서문''(1961)을 출판했다. 논문 "흑인 문학의 신화"(1962)에서 흑인 경험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흑인이 미국 문화에서 오해받고 있다고 말했다.[25][26]
1963년 흑인 음악의 발전 과정을 기술한 ''블루스 피플''을 출판했다.[27] 그는 이 책에서 음악이 역사를 설명하고 역사가 음악을 설명하며, 블루스는 흑인들이 미국에서 어떻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표현이라고 주장했다.[28][29]
희곡 ''더치맨''(1964)으로 오비 상을 수상했다.[30] 이 희곡은 앤서니 하비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고(1967),[31] 2013년에도 재공연되었다.[32]
2. 2. 흑인 예술 운동과 정치 활동 (1965-1980)
맬컴 엑스 암살 이후, 아미리 바라카로 개명하고 할렘으로 이주하여 흑인 예술 레퍼토리/극장 학교(BARTS)를 설립했다.[43] 그는 흑인 예술 운동의 주요 이론가로서 백인 중심의 민권 운동을 비판하고, 혁명적인 시와 희곡을 발표했다. 1966년, 실비아 로빈슨(아미나 바라카)과 재혼하여 뉴어크에 스피릿 하우스(Spirit House)를 열었다. 이는 놀이 공연장과 예술가 레지던스를 결합한 곳이었다. 1967년에는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에서 강의했다.1967년 뉴어크 폭동 당시 불법 무기 소지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45][46][47] 그는 "두 정의 리볼버와 두 편의 시"를 소지한 혐의로 기소되었다고 농담했다.[42] 같은 해, 앤서니 임페리얼과 함께 라디오에 출연하여 폭동의 책임을 "백인이 주도하는 소위 급진적인 집단"과 "공산주의자들과 트로츠키주의자들"에게 돌렸다.[48] 같은 해 그의 두 번째 재즈 평론집인 ''흑인 음악''이 출판되었다.
1967년, 마울라나 카렌가를 방문하여 그의 카와이다 철학을 지지했다.[8] 이때 "이마무 아메아르 바라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1] 1970년, 케네스 A. 기브슨의 뉴어크 시장 당선을 지원했다.
1970년대 초, 강력한 반유대주의적인 시와 기사들을 쓰면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974년, 흑인 민족주의에서 벗어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수용했다.[53]
1979년, 스토니 브룩 대학교의 아프리카나 연구학과 강사가 되었다.[54] 같은 해, 아내 폭행 및 체포 저항 혐의로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55] 그는 리커스 아일랜드에 수감되는 대신 할렘의 반쯤 집에 수감되어 형을 복역했다.[58] 복역 중 ''자서전''을 써서 출생부터 사회주의로 개종하기까지의 삶을 기록했다.
2. 3. 후기 활동 (1980-2014)
1980년, 바라카는 ''빌리지 보이스''에 "전직 반유대주의자의 고백"이라는 수필을 발표했다.[52] 스토니 브룩 대학교 아프리카 연구 학과에서 강의를 시작하여,[54] 정교수를 거쳐 명예교수로 재직했다.[54] 1989년에는 미국 도서상과 랭스턴 휴즈 상을 수상했다.2002년 뉴저지주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으나,[69] 9.11 테러와 관련된 시 "누군가가 미국을 폭파했는가?"로 인해 논란을 빚고 직위가 폐지되었다.[70] 그는 힙합 그룹 더 루츠와 협업하고, 영화 ''벌워스''(1998)에 출연하는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쳤다.
2014년 1월 9일, 바라카는 뉴저지주 뉴어크의 베스 이스라엘 메디컬 센터에서 사망했다.[69] 사인은 최근 수술 후 합병증으로 알려졌다.[70]
3. 논란
바라카의 작품은 인종차별적, 여성혐오적, 동성애혐오적, 반유대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72]
바라카와 그의 저술들은 극단적이고 적대적인 백인 혐오 정서를 드러냈다.[73][74] 그는 흑인 우월주의를 주장하며 흑인을 백인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여겼으며, 백인은 타고나게 악하다고 믿었다.[75]
1965년 에세이에서 바라카는 대부분의 미국 백인 남성이 겁쟁이로 훈련받았다고 주장하며, 흑인 남성이 백인 여성을 강간하는 것이 백인 남성으로부터 모든 것을 빼앗고 싶어하는 욕망의 표현이라고 썼다. 그는 백인 여성은 오직 강간을 통해서만 깨끗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77]
2009년에 그는 이러한 언급이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파트리스 루뭄바 암살 사건, 말콤 X 암살 사건 등 일련의 사건들로 인한 분노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흑인 공동체 내의 계급 투쟁을 인식하고 마르크스주의자가 되면서 생각이 바뀌었다고 밝혔다.[78]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바라카는 강력한 반유대주의적인 시와 기사들을 썼다. 예를 들어, 시 ''블랙 아트''에서 그는 유대인들에게 특별한 적의를 드러내며, '소유 유대인들의 미끈한 배를 찌르는' '단검 시'와 '유대인 여성의 입에 '강철 주먹을 부수는' 시를 언급했다.[52]
1980년 ''빌리지 보이스''에 기고한 "전직 반유대주의자의 고백(Confessions of a Former Anti-Semite)"이라는 글에서 바라카는 말콤 X 암살 이후 백인 여성과 결혼한 흑인으로서 느꼈던 소외감을 고백했다. 그는 유대인들이 흑인 시민권 운동 단체를 지원한 것이 그들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며, 시온주의는 일종의 인종차별주의라고 말했다.[59]
그는 "죽은 흑인 시인 톰 포스텔에게(For Tom Postell, Dead Black Poet)"라는 시에서 반유대주의적인 표현을 사용한 것을 인정하고, 이를 부인했다.[10][59]
2002년 뉴저지주 계관 시인으로 임명된 후, 9.11 테러에 관한 시 "누군가가 미국을 폭파했는가?(Somebody Blew Up America?)"를 발표하여 반유대주의 논란을 일으켰다.[63]
바라카의 작품은 여성혐오 및 동성애혐오 표현이라는 비판도 받았다.[113]
4. 주요 작품
아미리 바라카는 시, 희곡, 소설, 비평 등 다양한 장르에서 50년 이상 활동하며 흑인 해방과 백인 인종차별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 그의 작품은 때로는 논쟁적이었지만, 흑인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음은 아미리 바라카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주요 비평작품으로는 1963년 출간된 ''블루스 피플: 백인 미국에서의 흑인 음악(Blues People: Negro Music in White America)''[27]이 있으며, 이 책에서 아미리 바라카는 노예들이 아프리카에서 가져온 음악 전통과 블루스의 탄생을 연결하며, 블루스가 미국에서 흑인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표현이라고 주장했다.[29]
4. 1. 시
바라카는 여러 권의 시집을 출판했는데,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출판 연도 | 제목 |
---|---|
1961 | 20권짜리 자살 유서 서문(Preface to a Twenty Volume Suicide Note) |
1964 | 죽은 강사: 시들(The Dead Lecturer: Poems) |
1969 | 흑마술(Black Magic) |
1970 | '이제는 국가의 시간(Its Nation Time)'' |
1980 | 새로운 음악, 새로운 시(New Music, New Poetry) (인디아 네비게이션(India Navigation)) |
1995 | 트랜스블루센시: 아미리 바라카/르로이 존스의 시선집(Transbluesency: The Selected Poems of Amiri Baraka/LeRoi Jones) |
1995 | '와이즈, 와이즈 와이즈(Wise, Whys Y) |
1996 | 펑크 전설: 새로운 시들(Funk Lore: New Poems) |
2003 | 누군가가 미국을 폭파시켰다, 그리고 다른 시들(Somebody Blew Up America & Other Poems) |
2005 | 수도승의 책(The Book of Monk) |
1960년 7월 쿠바를 방문하여 쿠바를 위한 공정한 행동 위원회 대표단과 함께 "쿠바 리브레(Cuba Libre)"라는 에세이에 자신의 인상을 적었다.[22] 거기서 그는 공개적으로 반항적인 예술가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그를 "겁 많은 부르주아 개인주의자"[23]라고 선언하며, 억압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돕는 것보다 자신의 명성을 쌓는 데 더 집중한다고 비난했다. 이 만남은 그의 글쓰기와 목표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흑인 민족주의를 지지하는 데 강력하게 나서게 되었다.
그의 첫 번째 시집인 ''20권짜리 자살 유서 서문(Preface to a Twenty Volume Suicide Note)''은 1961년에 출판되었다.
바라카의 논문 "흑인 문학의 신화(The Myth of a 'Negro Literature')"(1962)는 "미국에서 흑인 경험의 합법적인 산물이 되려면 미국이 가장 무자비한 정체성으로 제시한 바로 그 조건에서 그 경험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같은 작품에서 미국 문화의 한 요소로서 흑인은 미국인들에게 완전히 오해받고 있다고 말했다.
1965년 Malcolm X 암살 후, 바라카는 르로이 존스에서 아미리 바라카로 이름을 바꾸었다.[33] 이때 그는 Harlem으로 이사하여 흑인 예술 운동이 예술의 새로운 시각적 표현을 만들면서 흑인 예술 레퍼토리/극장 학교(BARTS)를 설립했다.
바라카는 이 시대에 급성장하는 흑인 예술의 주요 옹호자이자 이론가가 되었다.[27] "흑인 문화 민족주의자"가 된 그는 평화주의적이고 통합주의적인 민권 운동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그의 혁명적인 시는 더욱 논란이 되었다.[6]
바라카는 "흑인 예술(Black Art)"에서 그러한 폭력에 대한 필요성을 표현하기 위해 의성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흑인 예술"은 곧 흑인 예술 문학 운동의 주요 시적 선언이 되었고, 존스는 "우리는 죽이는 시를 원한다"고 선언했는데, 이는 무장 자위 방어와 백인 권력 구조와의 대결을 촉진하는 "무장하거나 다치거나"와 같은 슬로건의 부상과 일치한다.[8] 바라카는 시를 도피주의적 수단으로 사용하는 대신 행동의 무기로 보았다.[38]
1965년 4월, 바라카의 "흑인 마음을 위한 시(A Poem for Black Hearts)"는 말콤 X 암살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발표되었고, 이는 억압에 대한 분노를 유발하고 분노를 옹호하기 위해 시를 사용하는 시인의 모습을 더욱 잘 보여준다.[39]
1967년 12월 ''에버그린 리뷰''에 실린 그의 시 "흑인들"은 판사에 의해 법정에서 낭독되었는데,[45] "마법의 단어를 말하면 모든 가게가 문을 열 것입니다. 마법의 단어는 바로 '벽에 바싹 붙어, 젠장, 이건 강도야!'입니다."라는 구절도 포함되어 있었다.[46]
2002년 짐 맥그리비 주지사에 의해 뉴저지주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다.[61] 뉴저지주 스탠홉에서 열린 제럴딘 R. 도지 시 축제에서 바라카는 9.11 테러에 관한 2001년 시 "누군가가 미국을 폭파했는가?(Somebody Blew Up America?)"를 낭송했는데, 이 시는 반유대주의와 공인에 대한 공격으로 비판을 받았다. 법률에 바라카를 직책에서 해임할 메커니즘이 없었고 그가 사퇴를 거부했기 때문에 주 의회와 맥그리비 주지사는 주 계관 시인 직책을 공식적으로 폐지했다.[63]
4. 2. 희곡
연도 | 제목 |
---|---|
1964 | 더치맨 |
1964 | 노예 |
1967 | 세례와 화장실 |
1966 | 흑인 미사 |
1968 | 고향의 초원과 경찰[103] |
1969 | 4편의 흑인 혁명 희곡 |
1970 | 노예선 |
1978 | 역사의 운동과 다른 희곡들 |
1979 | 시드니 시인 영웅담 (I. 리드 북스 출판) |
1989 | 노래 |
2013 |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남자 (W. E. B. 뒤부아) |
4. 3. 소설
- 1965: 《단테의 지옥 체계 (The System of Dante's Hell)》
- 1967: 《이야기들 (Tales)》
- 2004: 《약간 낮은 쿠데타 (Un Poco Low Coup)》 (이즈마엘 리드 출판사에서 출판된 그래픽 노벨)
- 2006: 《밖과 사라진 자들의 이야기 (Tales of the Out & the Gone)》
4. 4. 비평
바라카는 재즈, 흑인 음악, 흑인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비평을 남겼다. 그의 비평은 때로는 논쟁적이었지만, 흑인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1962년 에세이 "흑인 문학의 신화"에서 바라카는 흑인 작가들이 중산층이 되는 것에 집착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미국 사회가 흑인이 아닌 백인에게만 자리를 내어준다고 주장했다.[25][26]
1963년에는 흑인 음악의 역사를 다룬 ''블루스 피플: 백인 미국에서의 흑인 음악(Blues People: Negro Music in White America)''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그는 노예들이 아프리카에서 가져온 음악 전통과 블루스의 탄생을 연결하며, 블루스가 미국에서 흑인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표현이라고 주장했다.[27][29]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바라카는 반유대주의적인 시와 기사를 써서 논란을 일으켰다. 예를 들어, 시 "흑인 예술(Black Art)"에서 그는 유대인을 특정하여 증오를 표현했다.[52] 1980년, 그는 ''빌리지 보이스''에 "전직 반유대주의자의 고백"이라는 에세이를 발표하여 과거의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후회한다고 밝혔다.[59]
1974년, 바라카는 흑인 민족주의에서 벗어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받아들였다.[53]
5. 수상 및 영예
구겐하임 재단과 국립예술기금의 펠로우십, 뉴욕 시립대학교의 랭스턴 휴스 상, 록펠러 재단의 극작상,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회원, 콜럼버스 이전 재단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95] 2002년 7월부터 2003년 7월 2일 직책이 폐지될 때까지 뉴저지 주의 두 번째 뉴저지 주 계관 시인을 역임했다.[94] 9명으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는 2002년 12월 그를 뉴어크 공립학교의 계관 시인으로 임명했다.[94]
6. 유산과 영향
아미리 바라카는 흑인 예술 운동의 공동 창립자로서, 흑인 민족주의적 관점을 제시하고 한 세대의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98] 그의 유산은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99]
그의 작품은 때때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억압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사회적 불의에 저항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은 미국 문학 정전(canon)에서 제외되기도 했지만,[100] 여전히 많은 작가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바라카는 다양한 예술 장르에 참여하고 자신의 사회 운동을 결합하여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98] 일부 작가들은 그가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백인 출판사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들의 문을 열었다고 인정한다.[27]
바라카의 ''블루스 피플'' 60주년을 기념하여, 트럼펫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러셀 건은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모음곡 ''The Blues and Its People''을 아폴로 극장에서 초연했다.[102]
바라카의 시와 저술은 높은 평가와 비판을 모두 받았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에서는 제임스 볼드윈과 비교하며 그를 그의 세대에서 가장 존경받고 가장 널리 출판된 흑인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의 희곡, 시, 수필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를 정의하는 텍스트를 구성했으며, 비트 세대 작가들의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Fieldworks: From Place to Site in Postwar Poe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13
[2]
웹사이트
Newark mayor's new chief of staff Amiri Baraka, Jr.: 'I've got my brother's back'
http://www.politicke[...]
2014-07-01
[3]
뉴스
Amiri Baraka, 79: Architect of Black Arts Movement
2014-01-10
[4]
웹사이트
Amiri Baraka - Poets.org - Poetry, Poems, Bios & More
http://www.poets.org[...]
Academy of American Poets
2014-01-10
[5]
웹사이트
Open Book/Beyond Margins Award Winners
https://web.archive.[...]
PEN American Center
2012-07-06
[6]
서적
Anthology of Modern American Poe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7]
웹사이트
Amiri Baraka
https://web.archive.[...]
Celeste Bateman and Associates
2014-11-08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frican-American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
서적
Modern American Poetry: An Online Journal and Multimedia Companion to Anthology of Modern American Poetr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2
[10]
서적
Amiri Baraka: The Politics and Art of a Black Intellectual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1
[11]
웹사이트
Baraka refutes criticism. Controversial N.J. poet laureate denies accusations of racism
http://yaledailynews[...]
2003-02-25
[12]
웹사이트
When poetry seems to matter
https://www.nytimes.[...]
2003-02-09
[13]
뉴스
Amiri Baraka, legendary poet who never abandoned Newark, dead at 79
http://www.nj.com/es[...]
2014-01-09
[14]
웹사이트
Amiri Baraka's Legacy Both Controversial And Achingly Beautiful
https://www.npr.org/[...]
2014-01-09
[15]
뉴스
Amiri Baraka, Polarizing Poet and Playwright, Dies at 79
https://www.nytimes.[...]
2014-01-10
[16]
웹사이트
Imamu Amiri Baraka African American Author
http://www.myblackhi[...]
Black History in America
[17]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African American Literature
W. W. Norton & Company
[18]
문서
Howl
2019-04
[19]
학술지
The Case of Leroi Jones/Amiri Baraka
[20]
웹사이트
Yugen
http://realitystudio[...]
RealityStudio
2006-04-30
[21]
학술지
LeRoi Jones's Radio and the Literary "Break" from Ellison to Burroughs
2014
[22]
문서
The New York Times
[23]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African American Literature
[24]
문서
Monthly Review
[25]
서적
Historical Overviews of The Black Arts Mov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6]
서적
Modern American Poetry: An Online Journal and Multimedia Companion to Anthology of Modern American Poetr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2
[27]
웹사이트
Amiri Baraka 1934-2014
http://www.poetryfou[...]
Poetry Foundation
[28]
서적
Blues People: Negro Music in White America
Harper Perennial
2002
[29]
서적
Blues People
2002
[30]
웹사이트
Dutchman
http://www.samuelfre[...]
SamuelFrench.com
[31]
웹사이트
Dutchman
https://www.imdb.com[...]
IMDb.com
1968-02
[32]
뉴스
A Play That's Sure to Make You Sweat
https://www.nytimes.[...]
2013-10-31
[33]
웹사이트
Amiri Baraka
http://www.biography[...]
[34]
웹사이트
Black Arts Repertory Theatre and School (BARTS) and the Black Arts Movement – Black Power in American Memory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s of the Black Arts Movement
https://web.archive.[...]
[36]
서적
Amiri Baraka / LeRoi Jones: The Quest for a "Populist Modern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서적
Anthology of Modern American Poetry
[38]
서적
The Poetry and Poetics of Amiri Baraka: The Jazz Aesthetic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39]
웹사이트
A Poem for Black Hearts
https://nmaahc.si.ed[...]
Collection of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Africa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2017-05-10
[40]
학술지
The Poem of Anger: Amiri Baraka, Tory Dent, and Adrian C. Louis
[41]
웹사이트
An early poem for Malcolm X
http://www.culturalf[...]
2017-05-10
[42]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African American Literature
[43]
문서
Funk Lore (back cover)
[44]
웹사이트
Amiri Baraka, legendary poet who never abandoned Newark, dead at 79
http://www.nj.com/es[...]
2014-01-09
[45]
서적
Amiri Baraka: The Politics and Art of a Black Intellectual
[46]
문서
Up Against the Wall Motherfuckers Slogan
[47]
뉴스
Raymond A. Brown, Civil Rights Lawyer,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09-10-11
[48]
서적
No Cause for Indictment; An Autopsy of Newark
Holt, Rinehart and Winston
[49]
웹사이트
Various US labels (2) - jazz album covers
http://www.birkajazz[...]
Birkajazz.com
2014-12-14
[50]
웹사이트
Spirit House Movers (Jihad) : Black & Beautiful – Soul & Madness (CD)
http://www.dustygroo[...]
2014-12-14
[51]
블로그
Jihad Records
http://ajbenjamin2be[...]
2008-11-24
[52]
학술지
One Black Allah: The Middle East in the Cultural Politics of African American Liberation, 1955-197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09
[53]
학술지
"I Investigate the Sun": Amiri Baraka in the 1980s
[54]
웹사이트
Poet, Playwright and Political Activist Amiri Baraka (1934-2014) Taught at Stony Brook
http://www.stonybroo[...]
Stony Brook University
2015-09-14
[55]
뉴스
Judge Delays Ruling for a Month on Sentencing of Imamu Baraka
https://www.nytimes.[...]
1981-02-24
[56]
뉴스
TV: Documentary Film Examines Amiri Baraka
https://www.nytimes.[...]
1983-06-28
[57]
뉴스
Names in the News
https://news.google.[...]
1981-12-18
[58]
서적
The LeRoi Jones/Amiri Baraka Reader
Thunder's Mouth Press
[59]
뉴스
Amiri Baraka stands by his words
http://www.salon.com[...]
2002-10-17
[60]
웹사이트
Rutgers Students' Sit-In Turns Mellow
https://www.nytimes.[...]
1990-05-11
[61]
웹사이트
In Defense of the Poet Laureate: On Politics, Art, and Inaugural Doggerel
https://lithub.com/i[...]
2015-04-14
[62]
뉴스
How the governor of New Jersey appointed a radical poet laureate - and immediately wished he hadn't
2003-01-27
[63]
뉴스
The bizzaro history of the poet laureate
http://startouch.the[...]
2016-07-07
[64]
서적
100 Greatest African American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Prometheus Books
[65]
웹사이트
Daughter of Controversial Poet Is Killed at Her Sister's Home
https://www.nytimes.[...]
2003-08-14
[66]
서적
Black Women's Lives: Stories of Pain and Power
https://archive.org/[...]
Nation Books
[67]
웹사이트
Man again seeks to overturn conviction for murder of two women in Piscataway
http://www.mycentral[...]
mycentraljersey.com
[68]
뉴스
Metro Briefing: New Jersey: New Brunswick: Conviction In 2 Killings
https://www.nytimes.[...]
2005-07-12
[69]
뉴스
Amiri Baraka, former N.J. poet laureate and prolific author, dead at 79
http://www.nj.com/es[...]
2014-01-09
[70]
뉴스
Amiri Baraka dies at 79; provocative poet lauded, chided for social passion
http://www.latimes.c[...]
2014-01-09
[71]
뉴스
Amiri Baraka's funeral to be held at Newark Symphony Hall
http://www.nj.com/es[...]
The Star-Ledger
2014-01-10
[72]
뉴스
Amiri Baraka, Polarizing Poet and Playwright, Dies at 79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1-09
[73]
백과사전
Baraka, Imanu Amiri (b. 1934)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09-04-20
[74]
서적
Post-Jungian Criticism: Theory and Practice
SUNY Press
2004
[75]
서적
Amiri Baraka: The Politics and Art of a Black Intellectual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1
[76]
서적
The Autobiography of LeRoi Jones/Amiri Baraka
https://books.google[...]
Freundlich Books
1984
[77]
서적
Amiri Baraka: The Politics and Art of a Black Intellectual
2001
[78]
웹사이트
Art is a Weapon in the Struggle of Ideas: Interviewing Amiri Baraka
http://www.3ammagazi[...]
3:AM Magazine
2009-06-04
[79]
서적
Writing African American Women: A-J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80]
서적
Ain't I a Woman: Black Women and Femin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2-17
[81]
서적
Baraka's Dilemma: To Be or Not to Be?
https://www.degruyt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0-12-31
[82]
서적
Ernie McClintock and the Jazz Actors Family: Reviving the Legac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1-19
[83]
서적
Queer Pollen: White Seduction, Black Male Homosexuality, and the Cinemat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1
[84]
웹사이트
Bigotry Is Not Poetry
https://jewishjourna[...]
2014-01-14
[85]
웹사이트
Setting the Record Straight on Amiri Baraka
https://forward.com/[...]
2014
[86]
웹사이트
Amiri Baraka-Bio
http://www.amiribara[...]
Amiribaraka.com
[87]
Youtube
Amiri Baraka vs Connie Chung – CNN, October 2002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1-04-28
[88]
뉴스
Amiri Baraka stands by his words
https://www.salon.co[...]
Salon
2002-10-17
[89]
뉴스
The hate that will not di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12-18
[90]
웹사이트
Amiri Baraka: a long history of hostility to Jews and Jewish concerns
http://www.adl.org/a[...]
Adl.org
[91]
간행물
Laws of the State of New Jersey, P.L.2003, c.123
New Jersey State Legislature
[92]
뉴스
Newark: Court Will Not Hear Poet's Lawsu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11-14
[93]
뉴스
Anti-Semitism, Not Poetry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2-10-08
[94]
뉴스
Criticized Poet Is Named Laureate of Newark Schoo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2-12-19
[95]
웹사이트
Amiri Baraka
http://www.poets.org[...]
Poets.org
[96]
뉴스
Commissioner Fox Unveils New 7th Avenue Concourse at Penn Station N.Y.: Built For Today's Crowds and Tomorrow's Capacity Needs
http://www.njtransit[...]
New Jersey Transit
2002-09-18
[97]
뉴스
Ode to Joi(se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3-04-27
[98]
웹사이트
Author Amiri Baraka: 'Tales of the Out & Gone'
http://www.npr.org/t[...]
NPR
2007-01-09
[99]
논문
Amiri Baraka: A Lifetime of Saying the Unsayable
Canadian Review of American Studies
2016
[100]
논문
Contested Lineages: Fred Moten, Terrance Hayes, and the Legacy of Amiri Baraka
African American Review
2016
[101]
잡지
On Amiri Bakara: Who Was That Masked Man?
http://www.raintaxi.[...]
Rain Taxi
2014
[102]
뉴스
Amiri Baraka's 'Blues People' Comes Home to the Apollo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2-16
[103]
서적
''Home on the Range'' and ''Police''
Routledge
1968
[104]
웹사이트
Recovering the New-Ark: Amiri Baraka's Lost Chronicle of Black Power in Newark, 1968
http://brightlightsf[...]
Bright Lights Film Journal
2014-04-17
[105]
웹사이트
Amiri Baraka's lost Newark film, found and coming home
http://www.nj.com/en[...]
NJ.com
2014-04-18
[106]
서적
Fieldworks: From Place to Site in Postwar Poe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07]
뉴스
Amiri Baraka, 79: Architect of Black Arts Movement
2014-01-10
[108]
웹사이트
Amiri Baraka - Poets.org - Poetry, Poems, Bios & More
http://www.poets.org[...]
Academy of American Poets
2014-01-10
[109]
서적
魂のゆくえ
新潮社
[110]
문서
1963년 미국 출판, 1965년 일본 음악之友사 번역본 출판
[111]
웹사이트
Amiri Baraka
http://www.amiribara[...]
Celeste Bateman and Associates
2014-11-08
[112]
문서
흑인 게이 작가
[113]
문서
여성혐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